본문 바로가기
Canine Health and Disease

반려견과 봄철 진드기🐾

by Luv_yuki 2025. 3. 27.
반응형

반려견과 진드기

반려견 보호자가 꼭 알아야 할 진드기 예방 및 관리법

짧아진 봄과 매년 상승하는 기온으로 이제는 3월부터 부지런히 진드기 예방에 신경을 써야 할 것 같습니다.

특히 요 몇 해의 여름처럼 동남아에 버금가는 우기가 온다면 습기와 더불어 더더욱 반려동물의 건강관리에 촉각을 곤두세울 수밖에 없는데요. 오늘은 그 첫 번째로 진드기 예방과 가정 내 관리법 등에 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진드기의 정의 및 원인

    진드기란?

    진드기는 절지동물강 거미강(Arachnida)에 속하는 외부기생충입니다.

    일반적으로 반려견에게 문제가 되는 진드기는 ‘참진드기(Hard tick)’와 ‘부드러운 진드기(Soft tick)’로 나뉘며, 봄부터 초여름까지 가장 활발하게 활동합니다. 진드기는 라임병, 바베시아증, 아나플라스마증 등 심각한 질병을 전파할 수 있는 위험한 존재입니다.

    반려동물의 진드기 예방은 단순한 위생 관리 차원을 넘어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입니다.

    heavy tick

    1-1. 주요 원인

     

     🌱 산책 중 야외 노출 - 산책로, 공원, 산책길의 풀숲, 낙엽 밑에 잠복 

     🧼 미흡한 외부기생충 관리 - 정기적인 예방약 미사용 시 감염 위험 ↑ 

     🐶 다견 가정/외부 접촉 - 감염된 개와의 접촉, 외출 후 털에 묻어 실내로 유입 가능 

     

    1-2. 진드기에 취약한 견종

     

    🐕 시추, 말티즈, 푸들 - 장모종으로 인해 진드기 탐지 어려움 

     🐕‍🦺 골든리트리버, 사모예드 - 활동성이 높고 야외활동을 선호 

     🐶 닥스훈트, 코커스파니엘 - 낮은 키와 풍부한 털로 인해 진드기 부착률 증가 

     

    강아지 발사탕

    2. 진드기 감염 시 증상 및 단계별 특징

    ✅ 주요 증상

    - 국소적 발적 및 가려움

    - 피부염, 딱지, 궤양

    - 식욕부진, 무기력

    - 발열, 림프절 비대

    - 빈혈 또는 황달 증상

     

    📈 단계별 특징

    단계 특징
    1단계 : 진드기 부착 통증 거의 없음, 털 사이에 숨어 있음
    2단계 : 감염 시작  피부 자극, 소양감, 긁기 행동
    3단계 : 전신 증상 발열, 림프절 비대, 식욕 저하
    4단계 : 합병증 바베시아증, 아나플라즈마증, 라임병 등 발생 가능

     

    728x90

    동물병원 진료장면

    3. 진드기 진단 및 치료 방법

    🔍 진단

    • 시각 검사 - 피부, 귀 안쪽, 발가락 사이, 꼬리 밑 확인 
    • 현미경 검사 -  피부 병변 채취 후 진드기 확인 
    • 혈액검사  - 바베시아, 아나플라스마 등 병원체 감염 여부 파악 

     

    💊 치료법

    치료법 설명
    직접 제거 핀셋을 사용하여 머리 부분을 잡아 수직 제거
    국소 약물 피프로닐, 셀라멕틴 등 바르는 제품
    경구 약물 플루랄라너(브라벡토), 아폭실라너(넥스가드 스펙트라) 등 구충제 복용
    보조 치료 항생제, 소염제, 피부 치료제 병행

     

    💊 예방약

    ➡ 이소옥사졸린 계열 (넥스가드, 브라벡토): 경구 투여 2-4시간 내 작용 시작, 1-3개월 지속

      국소 도포제 (프론트라인 플러스): 피부 적용 후 24시간 내 진드기 사멸

      목걸이형 (세레스토): 최대 8개월 보호 가능

     

    SMALL

    4. 진드기 예방 및 가정 관리 팁

    ✅ 진드기 예방 수칙

    1.  산책 후 브러싱 필수

    2. 예방약은 연중 사용 권장 (특히 3~11월 집중)

    3. 잔디밭, 덤불 지역 접근 자제

    4. 털이 긴 부위 정기적으로 클리핑

    5. 집 주변 제초 및 방역 철저

     

    🏡 생활환경 관리

    ☑ 주 3회 이상 진공청소기 사용(카펫/소파 틈새 집중 처리)

    반려동물 침구는 60°C 이상 고온 세탁

    실내 습도 50% 이하 유지(진드기 서식 억제)

     

    산책중인 강아지들

     

    🌈계절별 관리 포인트

    ✅ 봄·가을

    진드기 항체 검사 실시

    예방접종(라임병 등) 업데이트

     

    ✅ 여름

    산책 시간대 조절(오전 10시 전/오후 4시 후)

    진드기 기피제 스프레이 추가 사용

     

    ✅ 겨울

    실내 습도 관리 강화

    난방기 필터 주기적 청소

     

    💠 경제적인 예방 솔루션

    1. 자가 진단 키트: 월 1회 피부 세포 검사

    2. 대체 요법: 식초 물 스프레이(물:식초=2:1 비율)

    3. DIY 침구: 개박하 오일 함유 방석 제작

     

    5. 최신 치료 연구 동향 🧪

    연구 내용
    mRNA 백신 라임병 예방 mRNA 백신, 동물 임상 진행 중 
    진드기 생식 억제제 진드기 번식률을 낮추는 약제 연구
    자가진단 키트 보호자가 직접 확인 가능한 집에서도 사용하는 키트 개발 중 
    자연 추출 방충제 시트로넬라, 유칼립투스 등 식물성 성분 안전성 연구 강화
    진드기 백신  바베시아, 에를리키아 예방용 백신 개발

     

     

    6. 수의사의 조언 및 팁 💡

     진드기 예방은 선제적 관리가 핵심입니다.
    특히 장모종이나 노령견은 감염 후 회복력이 낮아 조기 예방이 중요합니다.
    한 번의 산책이 평생 후유증으로 이어질 수 있으니, 봄철 외부활동 이후 꼼꼼한 점검을 꼭 실천해 주세요.”

     

    ✅ 전문가 팁 요약

    ✔ 외부활동 후 귀, 겨드랑이, 꼬리 밑 집중 점검

     ✔ 장기적으로는 구충제 + 브러싱 루틴화

     ✔ 아이들 장난감, 침구도 주기적 살균 필수

     ✔ 다견가정은 모든 아이 동시 예방 처리 권장 

     

     

    봄철 반려동물 건강 관리 가이드

     

    봄철 반려동물 건강 관리 가이드

    봄철 반려동물 건강 관리 가이드 🌸🐶🐱  봄은 따뜻한 날씨와 함께 반려동물과 야외 활동을 즐기기에 좋은 계절입니다.하지만 동시에 알레르기, 기생충, 식중독 등의 위험이 높아지는 시기이

    puppy-embroidery.tistory.com

    강아지에게 위험한 봄철 독성 식물 10가지

     

    강아지에게 위험한 봄철 독성 식물 10가지

    🌸 강아지에게 위험한 봄철 독성 식물 10가지 1. 예쁘다고 가까이 두지 마세요! ✅ 1. 왜 봄철 식물은 위험할까요?봄은 다양한 식물들이 개화하는 시기입니다.하지만 반려동물은 특정 식물의 냄

    puppy-embroidery.tistory.com

     

     

    📑 참조 자료 및 URL

     MSD Veterinary Manual 

     Companion Animal Parasite Council (CAPC)  

     American Kennel Club – Tick Guide  

     Cornell University – Veterinary Medicine  

     대한수의사회 외부기생충 관리 지침서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