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에서 주로 생활하는 반려견의 경우, 봄~가을까지는 심장사상충 약을 복용시키고 겨울에는 추위로 산책도 덜하게 되고 날씨가 추우니까 괜찮겠지..라는 생각으로 몇 달씩 거르시는 집! 분명히 있으실 거예요. 심장사상충 약도 꾸준히 복용을 해야지 몸에 약효가 지속되어 아이들을 보호할 수 있어요. 그래서 오늘은 심장사상충 약의 복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심장 사상충 예방약 복용 주기와 효과 지속 시간
심장사상충 예방약(Heartworm Preventive)은 매달 1회 정기적으로 투여해야 강아지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만약 몇 달간 투여를 거르게 되면 강아지의 체내 보호 효과가 점점 감소하게 되며, 감염 위험이 증가합니다.
1. 심장사상충 예방약의 작용 원리
심장사상충 예방약은 이미 체내에 들어온 미세사상충(유충, L3~L4 단계)을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성충(성장한 기생충)을 제거하는 효과는 없습니다.
✅ 예방약의 특징
- 한 달 단위로 작용하며, 감염된 유충을 제거
- 지속적으로 복용해야 감염 가능성을 완전히 차단 가능
- 일정이 어긋나면 유충이 성충으로 성장하여 약으로 제거할 수 없는 상태가 됨
2. 몇 달 거르면 효과가 떨어질까?
심장사상충 예방약은 백신과 달리 체내 항체를 형성하는 방식이 아닙니다.
예방약을 투여하는 동안은 일정 기간 효과가 지속되지만, 약을 거르면 보호 효과는 사라지고 감염 위험이 증가합니다.
✅ 투여 중단 기간별 감염 위험
중단 기간 | 감염 가능성 및 영향 |
1개월 (한 번 거름) | 감염 위험은 낮지만, 가능한 빨리 재투여 필요 |
2~3개월 (2~3회 거름) | 일부 유충이 성충으로 성장할 위험 증가 |
4개월 이상 (장기 중단) | 성충 감염 가능성 매우 높음, 검사 후 치료 필요 |
- 1개월만 거른 경우 → 감염 가능성이 낮지만, 즉시 예방약을 다시 시작해야 함.
- 2~3개월 거른 경우 → 일부 유충이 성충으로 성장할 위험이 있으며, 심장사상충 검사를 받은 후 예방약을 재개해야 함.
- 4개월 이상 거른 경우 → 성충이 심장과 폐동맥에 자리 잡을 확률이 높아지며, 약으로는 제거가 불가능해 치료가 필요할 수 있음.
3. 심장사상충 예방약 중단 후 대처 방법
✅ 예방약을 중단했다면 이렇게 하세요!
1️⃣ 1개월 미만 중단 → 즉시 예방약을 다시 투여하면 됨.
2️⃣ 2~3개월 중단 → 예방약을 다시 시작하기 전 심장사상충 검사를 권장.
3️⃣ 4개월 이상 중단 → 반드시 혈액 검사(항원 검사 및 마이크로필라리아 검사) 후 예방약을 다시 시작해야 함.
📌 예방약을 갑자기 다시 투여하면 위험할 수도 있음!
- 심장사상충에 감염된 경우, 예방약이 갑자기 기생충을 죽이면 혈관이 막혀 위험할 수 있음.
- 반드시 검사를 통해 감염 여부를 확인한 후 재투여해야 안전함.
4. 심장사상충 예방의 중요성
- 심장사상충 감염 시 심각한 심장, 폐 질환을 유발하며, 심한 경우 사망할 수도 있음.
- 예방약을 매달 꾸준히 투여하면 100% 예방 가능.
- 감염되면 치료 과정이 길고 비용이 많이 들며, 강아지의 건강에 큰 부담을 줌.
결론
심장사상충 예방약은 체내 항체를 형성하는 방식이 아니라, 일정한 주기로 복용해야 감염을 막을 수 있습니다.
✅ 한 달 정도 거르면 즉시 다시 시작하면 되지만, 2~3개월 이상 거르면 감염 위험이 높아지므로 검사 후 재투여해야 합니다.
✅ 4개월 이상 거르면 반드시 수의사 검사를 통해 감염 여부를 확인한 후 다시 시작해야 합니다.
🚨 정기적으로 투여하지 않으면 예방 효과가 사라지고 감염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절대 중단하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매달 잊지 말고 우리의 소중한 반려견에게 심장사상충 약을 챙겨주세요!
💊 TIP
만약 저처럼 깜박 깜박 하는 기억력을 가지신 분이라면 매달 아이들의 약 복용이나 목욕, 접종에 관한 캘린더를 사용하시거나
중앙바이오텍 하트세이버에 반려견 정보를 등록 하시면 매달 알림톡으로 복용 알림이 찾아오니 이용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저는 두가지 다 사용하고 있습니다!
봄철 반려동물 건강 관리 가이드
봄철 반려동물 건강 관리 가이드 🌸🐶🐱 봄은 따뜻한 날씨와 함께 반려동물과 야외 활동을 즐기기에 좋은 계절입니다.하지만 동시에 알레르기, 기생충, 식중독 등의 위험이 높아지는 시기이
puppy-embroidery.tistory.com
'Canine Health and Dise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려견과 봄철 진드기🐾 (1) | 2025.03.27 |
---|---|
봄철 반려동물 건강 관리 가이드 (1) | 2025.03.22 |
반려견 예방 접종 FAQ (0) | 2025.03.20 |
반려견 올바른 예방 접종 가이드 (0) | 2025.03.19 |
강아지의 알로페시아(Alopecia, 탈모증) (0) | 2025.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