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견의 슬개골 탈구: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 방법에 관하여
서론
슬개골 탈구(Patellar Luxation)는 반려견, 특히 소형견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정형외과적 질환 중 하나로, 슬개골(무릎뼈)이 정상적인 위치에서 벗어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 질환은 반려견의 삶의 질을 심각하게 저하시킬 수 있으며, 초기에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만성적인 통증과 기능 장애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슬개골 탈구의 발생률은 품종, 연령, 성별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지며, 특히 유전적 소인이 있는 품종에서 높은 빈도로 나타납니다. 이번 글에서는 반려견의 슬개골 탈구에 대한 병인, 임상 증상, 진단 방법, 치료 옵션, 예후 및 예방 방법에 대해 포괄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슬개골 탈구의 해부학적 이해
1-1. 정상적인 슬관절의 구조
슬관절(무릎 관절)은 대퇴골(넓적다리뼈), 경골(정강이뼈), 그리고 슬개골(무릎뼈)로 구성된 복합 관절이다.
슬개골은 ⑴대퇴사두근(넙다리네갈래근)의 건 내에 위치하며, ⑵대퇴골의 활차 구(trochlear groove)를 따라 상하로 움직인다.
⑴ 대퇴사두근은 허벅지 앞쪽에 위치한 근육으로, 네 개의 근육(대퇴직근, 외측광근, 내측광근, 중간광근)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근육은 무릎을 펴고 걷거나 달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⑵ 대퇴골 활차구는 무릎 관절의 앞쪽 부분에 위치하며, 슬개골이 움직이는 홈이다. 이 구조는 무릎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고 안정성을 제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슬개골이 이 구(groove)를 따라 부드럽게 움직이며, 이러한 움직임은 대퇴사두근에 의해 조절된다.
대퇴골의 활차 구는 충분한 깊이를 가져야 하며, 슬개골 주변의 연부조직 구조물들(내측 및 외측 슬개지대)은 슬개골이 정상 위치를 유지하도록 지지해야 한다. 또한 대퇴골과 경골의 정렬상태도 슬개골의 안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슬개골 탈구의 분류
슬개골 탈구는 탈구 방향에 따라 내측 탈구(medial luxation)와 외측 탈구(lateral luxation)로 구분된다.
내측 탈구는 슬개골이 무릎의 안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하며, 외측 탈구는 바깥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말한다.
소형견에서는 내측 탈구가 훨씬 더 흔하게 발생하며(약 75-80%), 대형견에서는 외측 탈구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다.
심각도에 따라 슬개골 탈구는 다음과 같이 4등급으로 분류된다.
1등급 | 슬개골이 대부분 정상 위치에 있으나 손으로 탈구시킬 수 있으며, 압력을 제거하면 자발적으로 원위치로 돌아간다. |
2등급 | 슬개골이 간헐적으로 탈구되며, 관절 운동 시 또는 무릎 신전 시 자발적으로 탈구된다. 손으로 쉽게 원위치시킬 수 있다. |
3등급 | 슬개골이 대부분의 시간 동안 탈구된 상태로 있으나, 손으로 원위치시킬 수 있다. 그러나 압력을 제거하면 다시 탈구된다. |
4등급 | 슬개골이 영구적으로 탈구되어 있으며, 손으로도 원위치시킬 수 없다. 대퇴골 활차 구의 형성 부전이 심각하게 나타난다. |
3. 병인 및 위험 요인
슬개골 탈구는 선천적(발달성) 요인과 후천적(외상성)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3-1. 선천적/발달성 요인
1. 유전적 소인: 특정 품종에서 슬개골 탈구의 발생 빈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은 유전적 요인이 중요한 역할을 함을 시사한다. 특히 소형견 품종(요크셔테리어, 포메라니안, 치와와, 미니어처 푸들 등)과 일부 중형견(비숑 프리제, 코커 스파니엘)에서 높은 유병률을 보인다.
2. 골격 이상: 대퇴골과 경골의 정렬 이상은 슬개골 탈구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이상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대퇴골두의 내반(coxa vara)
- 대퇴골의 내회전(internal rotation)
- 경골 결절의 내측 변위
- 대퇴골 활차 구의 형성 부전
3. 근골격계 발달 이상: 근육 발달 불량, 특히 대퇴사두근의 불균형적 발달은 슬개골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3-2. 후천적/외상성 요인
1. 외상: 직접적인 외상으로 인해 슬개지대가 손상되면 슬개골 탈구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특히 이전에 구조적 이상이 있던 개에서 더 쉽게 발생한다.
2. 비만: 과도한 체중은 슬관절에 스트레스를 가중시켜 슬개골 탈구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3. 퇴행성 변화: 나이가 들면서 슬관절 주변의 연부조직이 약화되면 슬개골의 안정성이 감소할 수 있다.
4. 임상 증상
슬개골 탈구의 임상 증상은 탈구의 정도, 지속 시간, 그리고 이차적인 병변의 존재 여부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관찰되는 증상은 다음과 같다.
1. 간헐적인 절뚝거림- 특히 1-2등급 탈구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며, 개가 갑자기 뒷다리를 들거나 '스킵'하는 듯한 보행을 보이다가 곧 정상으로 돌아오는 모습을 보인다.
2. 지속적인 절뚝거림- 3-4등급 탈구에서는 지속적인 보행 이상이 관찰될 수 있다.
3. 비정상적인 보행 패턴- 내측 슬개골 탈구가 있는 개는 무릎이 안쪽으로 모이고 발이 바깥쪽으로 향하는 "O자형" 다리 자세를 취할 수 있다. 반대로 외측 탈구가 있는 경우에는 "X자형" 다리가 관찰될 수 있다.
4. 통증 및 불편함- 관절의 염증과 이차적인 골관절염으로 인해 통증을 느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활동을 꺼리거나 관절을 핥거나 물어뜯는 행동이 나타날 수 있다.
5. 근육 위축- 만성적인 슬개골 탈구는 대퇴사두근의 위축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는 특히 환측 다리에서 뚜렷하게 관찰된다.
6. 관절 부종- 일부 경우에는 슬관절 주변의 부종이 관찰될 수 있다.
5. 진단 방법
5-1. 임상 평가
1. 병력 청취: 증상의 시작, 지속 시간, 악화 요인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품종, 연령, 체중 등의 위험 요인도 고려한다.
2. 보행 평가: 다양한 속도와 조건(직선 보행, 회전, 계단 오르내리기 등)에서 개의 보행을 관찰하여 보행 이상의 특성과 패턴을 파악한다.
3. 신체 검사: 슬관절의 전체적인 평가를 위해 다음과 같은 검사를 수행한다.
- 슬개골의 위치와 이동성 평가
- 관절의 안정성 및 운동 범위 확인
- 통증 반응 평가
- 근육량 및 대칭성 평가
5-2. 영상 진단
1. 방사선 검사(X-ray): 표준 방사선 촬영은 슬관절의 골격 구조를 평가하는 데 유용하다.
전후방, 측면, 스카이라인 뷰 등 다양한 각도에서의 촬영이 필요하다. 방사선 검사를 통해 다음을 평가할 수 있다.
- 슬개골의 위치
- 대퇴골 활차 구의 깊이
- 대퇴골 및 경골의 정렬 상태
- 골관절염의 징후
2. 초음파 검사: 연부조직의 평가에 유용하며, 특히 슬개지대나 주변 인대의 손상을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된다.
3. 컴퓨터 단층촬영(CT): 3차원적인 골격 구조의 평가가 가능하며, 복잡한 변형이 있는 경우 특히 유용하다.
4. 자기공명영상(MRI): 연골, 인대, 반월상 연골 등의 연부조직 구조를 상세히 평가할 수 있다.
6. 치료 방법
슬개골 탈구의 치료는 탈구의 등급, 임상 증상의 심각도, 환자의 연령 및 전반적인 건강 상태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6-1. 보존적 치료
1등급 또는 증상이 경미한 2등급 탈구에서는 비수술적 접근법이 고려될 수 있다.
1. 체중 관리: 과체중인 개의 경우, 체중 감량은 슬관절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이는 데 중요하다.
2. 통제된 활동: 갑작스러운 방향 전환이나 점프 등 관절에 스트레스를 주는 활동을 제한한다.
3. 물리 치료: 관절 가동 범위 운동, 통제된 리드 운동, 수중 치료 등이 근력을 향상시키고 관절의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4. 약물 치료: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s)는 통증과 염증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연골 보호제(글루코사민, 콘드로이틴 등)의 사용도 고려할 수 있다.
6-2. 수술적 치료
3-4등급 탈구나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1-2등급 탈구에서는 수술적 개입이 필요할 수 있다.
선택할 수 있는 수술 기법은 환자의 특정 해부학적 이상에 따라 다르며,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포함된다.
1. 연부조직 재건술: 슬개지대의 강화 또는 재배치를 통해 슬개골의 정상적인 경로를 복원한다.
2. 활차 성형술(Trochleoplasty): 대퇴골 활차 구의 깊이가 불충분한 경우, 구의 깊이를 증가시켜 슬개골이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3. 경골 결절 전이술(Tibial Tuberosity Transposition): 대퇴사두근 힘의 벡터를 수정하기 위해 경골 결절의 위치를 변경한다.
4. 대퇴골 교정 절골술: 심각한 대퇴골 변형이 있는 경우, 대퇴골의 정렬을 교정하기 위한 절골술이 필요할 수 있다.
5. 슬개골 홈 성형술(Sulcoplasty): 슬개골이 움직이는 홈을 더 깊게 만들어 탈구를 방지한다.
6. 항회전 봉합술(Anti-rotational Suture): 추가적인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 슬개골을 제자리에 고정시키는 봉합을 시행한다.
7. 수술 후 관리 및 재활
수술 후 적절한 관리는 성공적인 결과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1. 활동 제한: 일반적으로 수술 후 최소 4-8주 동안은 활동을 엄격히 제한해야 한다.
리드를 착용한 짧은 산책만 허용되며, 달리기, 점프, 계단 오르기 등은 금지된다.
2. 물리 치료: 수술 후 재활 프로그램은 근력 회복, 관절 가동 범위 개선, 그리고 정상적인 보행 패턴 재확립에 중요하다.
다음과 같은 요법이 포함될 수 있다.
- 수동적 관절 가동 범위 운동
- 통제된 리드 운동
- 수중 치료
- 레이저 치료
- 전기 자극
3. 통증 관리: 적절한 통증 관리는 편안함을 제공하고 재활 과정에 참여하도록 장려하는 데 중요하다.
4. 정기적인 추적 관찰: 수술 후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회복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잠재적인 합병증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
8. 예후
슬개골 탈구의 예후는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지지만, 적절한 치료를 받은 대부분의 개들은 양호한 결과를 보인다.
1. 탈구 등급: 낮은 등급의 탈구는 일반적으로 더 나은 예후를 가진다.
2. 치료 시기: 조기 진단과 치료는 이차적인 퇴행성 변화를 최소화하고 더 나은 결과를 가져온다.
3. 치료 방법: 개별 환자의 특정 해부학적 이상에 적합한 수술 기법의 선택은 성공적인 결과에 중요하다.
4. 수술 후 관리: 적절한 재활과 활동 제한 준수는 수술 성공에 필수적이다.
5. 합병증: 잠재적인 합병증으로는 수술 실패, 감염, 지속적인 탈구, 골관절염의 진행 등이 있다.
대부분의 개들은 수술 후 6-12주 내에 정상적인 또는 거의 정상적인 기능을 회복하지만, 일부 사례에서는 완전한 회복에 더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으며, 특히 오래된 4등급 탈구의 경우 그러하다.
9. 예방 및 관리
슬개골 탈구를 완전히 예방하는 것은 특히 유전적 소인이 있는 품종에서는 어려울 수 있지만, 다음과 같은 전략이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1. 책임감 있는 번식: 슬개골 탈구가 확인된 개체는 번식에서 제외해야 한다.
2. 적절한 영양 및 체중 관리: 균형 잡힌 식이 요법과 건강한 체중 유지는 관절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이는 데 중요하다.
3. 정기적인 검진: 고위험 품종의 경우, 정기적인 정형외과 평가를 통해 초기 징후를 감지할 수 있다.
4. 규칙적인 저강도 운동으로 관절 강화: 과도한 운동이나 부적절한 운동은 관절에 스트레스를 가중시킬 수 있으므로, 개의 나이, 크기, 건강 상태에 적합한 운동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5. 보조제 사용: 일부 연구에서는 글루코사민, 콘드로이틴, 오메가-3 지방산 등의 보조제가 관절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6. 미끄러운 바닥 피하기 : 러그, 논슬립 매트 등을 사용하여 반려견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관절 보호.
7. 반려견 발톱 및 털 관리 : 주기적인 위생 미용을 통해 발톱 및 발바닥 주변의 털을 정리.
10. 결론
반려견의 슬개골 탈구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복합적인 정형외과적 질환이다.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는 장기적인 합병증을 예방하고 반려견의 삶의 질을 유지하는 데 중요하다.
치료 계획은 탈구의 등급, 환자의 특성, 임상 증상 등을 고려하여 개별화되어야 한다.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 현대의 기술과 방법은 대부분의 개들에게 좋은 예후를 제공한다.
예방적 조치와 정기적인 수의사 방문은 고위험 품종에서 특히 중요하며, 슬개골 탈구의 조기 발견과 적절한 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반려견의 슬개골 탈구는 비록 흔한 질환이지만, 적절한 이해와 관리를 통해 많은 개들이 활동적이고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다.
슬개골 탈구가 의심되는 경우, 가능한 한 빨리 수의사와 상담하여 정확한 진단과 개별화된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 참고문헌
1. DeCamp CE, Johnston SA, Déjardin LM, Schaefer SL. Brinker, Piermattei and Flo's Handbook of Small Animal Orthopedics and Fracture Repair. 5th ed. St. Louis, MO: Elsevier; 2016.
2. Kowaleski MP, Boudrieau RJ, Pozzi A. Stifle joint. In: Tobias KM, Johnston SA, eds. Veterinary Surgery: Small Animal. 2nd ed. St. Louis, MO: Elsevier; 2018:1071-1168.
3. Bosio F, Bufalari A, Peirone B, Petazzoni M, Vezzoni A. Prevalence, treatment and outcome of patellar luxation in dogs in Italy. A retrospective multicentric study (2009-2014). Vet Comp Orthop Traumatol. 2017;30(5):364-370.
4. Gibbons SE, Macias C, Tonzing MA, Pinchbeck GL, McKee WM. Patellar luxation in 70 large breed dogs. J Small Anim Pract. 2006;47(1):3-9.
5. Wangdee C, Theyse LF, Hazewinkel HA. Proximo-distal patellar position in three small dog breeds with medial patellar luxation. Vet Comp Orthop Traumatol. 2015;28(4):270-273.
[강아지 질병 정보] - 소형견에게 자주 발병되는 질병 TOP 10
소형견에게 자주 발병되는 질병 TOP 10
소형견에게 자주 발병되는 질병 TOP10 소형견(Small Breed Dogs)은 작은 체구와 귀여운 외모로 인해 많은 반려인들에게 사랑받고 있습니다.그러나 작은 몸집 때문에 특정 질병에 취약할 가능성이 높습
puppy-embroidery.tistory.com
[강아지 질병 정보] - 대형견에게 자주 발병되는 질병 TOP 10
대형견에게 자주 발병되는 질병 TOP 10
대형견에게 자주 발병되는 질병 TOP10 대형견(Large Breed Dogs)은 강한 체력과 근육을 가지고 있지만, 체구가 큰 만큼 특정 질병에 걸릴 위험이 증가합니다.이번 글에서는 대형견에게 자주 발병하는
puppy-embroidery.tistory.com
[강아지 질병 정보/강아지 관절질환] - 강아지 고관절 이형성증이란 무엇인가?
강아지 고관절 이형성증이란 무엇인가?
🐶 개의 고관절 이형성증 (Canine Hip Dysplasia) – 원인, 진단 및 관리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합니다. 📌 1. 고관절 이형성증이란?고관절 이형성증(Canine Hip Dysplasia, CHD)은 고관절이 비정상적으로 형
puppy-embroidery.tistory.com
'Canine Health and Dise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아지 기관 허탈에 관한 FAQ 10 (2) | 2025.03.13 |
---|---|
강아지의 기관 허탈 - 거위 울음 (0) | 2025.03.12 |
대형견에게 자주 발병되는 질병 TOP 10 (4) | 2025.03.08 |
소형견에게 자주 발병되는 질병 TOP 10 (2) | 2025.03.07 |
개의 알레르기성 피부염 (0) | 2025.03.05 |